일본어에서 어떤 행위를 금지하거나 제한할 때 자주 쓰는 표현이 바로 ‘~てはならない’와 ‘~てはいけない’입니다. 두 문법 모두 ‘~해서는 안 된다’라는 뜻을 가지고 있지만, 뉘앙스, 사용 상황, 강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두 표현의 의미, 문장 구조, 예문, 그리고 JLPT에서 어떻게 출제되는지를 상세히 비교 분석해드립니다.
~てはいけない: 일상 속에서 자주 쓰는 금지 표현
‘~てはいけない’는 누군가의 허가 없이 어떤 행동을 하면 안 된다는 일상적인 금지 표현입니다.
회화체에서 자주 사용되며, 경고나 충고, 규칙에 따른 제한 등을 부드럽게 표현할 때 적합합니다.
▶ 문형: [동사 て형] + はいけない
▶ 예문:
- ここでタバコを吸ってはいけません。
- テスト中に話してはいけない。
- 夜遅くまでゲームをしてはいけません。
▶ 특징:
- 일상 회화에서 자주 등장
- 비교적 부드러운 금지
- ~ちゃだめ 등으로도 표현 가능
~てはならない: 공식적이고 강한 금지 표현
‘~てはならない’는 법률, 규칙, 규범 등 공식적인 문서나 엄격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금지 표현입니다.
말투가 딱딱하고 권위적인 느낌을 주기 때문에, 서면어, 연설, 공공 문서 등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.
▶ 문형: [동사 て형] + はならない
▶ 예문:
- 他人の権利を侵害してはならない。
- 学校の規則を破ってはならない。
- 危険区域に入ってはならない。
▶ 특징:
- 공식 문서, 법률, 규범에서 사용
- 강한 금지 의미
- 회화에서는 잘 쓰이지 않음
둘의 비교와 JLPT 포인트
항목 | ~てはいけない | ~てはならない |
---|---|---|
해석 | ~해서는 안 된다 | ~해서는 절대로 안 된다 |
사용 상황 | 일상 회화, 규칙 안내 | 법률, 공식 문서 |
뉘앙스 | 부드럽고 실용적 | 딱딱하고 권위적 |
회화에서 사용 | ○ | ✕ |
JLPT 레벨 | N5~N4 | N3~N1 |
대체 표현 | ~ちゃだめ | ~てはならぬ |
JLPT 예시 문제:
公共の場で大声で話して( )。
→ 정답: ならない
결론
‘~てはいけない’는 일상 회화에서 자주 쓰이는 금지 표현이며, ‘~てはならない’는 공식 문서나 법률 등에서 사용되는 보다 강한 금지 표현입니다.
두 표현의 뉘앙스를 파악하고, 문맥에 맞게 정확히 사용하는 것이 JLPT 고득점의 열쇠입니다.